오늘은 리액트에서 제공하는 기본 훅(useState, useRef, useContext, useReducer)로 상태 관리를 하는 법에 대해 배웠다. 참고로 리액트에서 말하는 상태(state)는 컴포넌트 내에서 변하는 값이며, 수정 시 state의 값을 직접 바꾸기보단 set함수를 이용해 값을 변경한다. (이유: 리액트는 state가 변경될 때 화면을 리렌더링하는데, 이 state가 변한 것을 객체의 값이 아닌 객체의 주소 값이 변경된 것으로 감지하기 때문이다.) 그 중 useRef에 대해서, 처음엔 HTML dom element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때 사용할 수 있다고 배웠었는데, 다른 용도(?)로도 쓸 수 있다고 들어서 그것에 대해 useState와 비교하며 정리해보려고 한다. 1. useState ..